'개'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9.07.02 늑대의 후예-개
posted by 늘 기쁜콩 2019. 7. 2. 08:44
반응형

'애완동물', '반려동물'이라는 말에 가장 먼저 개가 떠오르는데 이러한 개가 정말 늑대의 후예일까?

늑대와 너무나 닮은 개의 모습이나 특징들이 있어 너무나 그럴듯한 이야기이다.

정말 가능한 이야기일지 많은 학자들이 전 세계적으로 오랜기간 연구하고 있다.

프랑스 남부 니스 지방의 라자레 동굴의 입구에는 특이하게 늑대 머리뼈가 놓여 있다. 한 곳이 아니라 여러 곳의 주거지에서 의도적으로 갖다 놓은 머리뼈가 발견되었다. 조사에 따르면 이 뼈는 고기를 뜯고 남은 뼈가 아니라 동굴에 사람들과 함께 살던 늑대의 뼈로 밝혀졌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구석기 무렵 인간은 지금 우리가 개를 기르듯이 늑대를 길렀다는 뜻이될 것이다.

- 가축화의 특징

야생동물이 가죽화가 되면 나타나는 몸짐이 작아진다. 사람과 함께 생활하려면 몸이 크면 서로 힘들기 때문이 아닐까?

그래서 사람들은 교배등으로 가죽이 적당한 크기가 되도록 통제하여 점차 같이 살기에 적당한 표준적인 크기로 안정화된다.

몸집 뿐만 아니라 행동 양식도 완전히 바뀌어 다 자라도 유년기적인 특징을 가지게 된다. 사람에게 계속적인 돌봄을 받으며 보호를 받아 더욱 인간, 주인을 의지하는데서 머물게 된다.

개의 경우는 더 발달한 면을 보여주는데 인간의 감정을 포착하고 거기에 반응하는데 있다. 인간의 웃음을 모방해 안면 근육을 당겨서 웃는 흉내까지 내는 개를 사람들은 기꺼이 '인간의 친구'라고 부르며 가까이 둔다.

 

- 늑대의 특징

늑대의 여러가지 특징들이 애완동물인 개로 변화하기에 적당하다.

1. 늑대는 무리를 이끄는 우두머리 늑대에게 복종을 잘한다. 이러한 성격 덕분에 늑대는 주인인 인간을 받아들이고 인간의 곁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2. 늑의 사회는 모계사회로 일부일처제이다. 평생 한마리의 수컷과 암컷이 짝을 이루고 자식을 낳고 살아간다. 이는 인간사회와 아주 닮아있다.

3. 늑대 사회는 인간 사회와 흡사하게 사회적 서열이 엄격하게 존재한다.

4. 늑대는 다른 동물에 비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몸짓이나 음성신호가 풍부하다.

 

- 개의 특징

1. 시각

개도 색상을 구분할 수 있다. 인간에 비유하면 적녹 색맹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의 눈에는 원세포가 적어서 색상 분별력이 떨어지지만, 대신 간상세포가 많아서 어두운 곳에서 물체의 윤곽은 쉽게 구분된다. 인간은 텔레비젼을 보면 자연스러운 동영상으로 인식하지만 개는 정지된 영상이 빠르게 깜박이는 것으로 인식이 된다.

 

2. 청각

개는 인간의 청각보다 훨씬 뛰어나고, 귀를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세워서 보다 집중하여 들을 수 있다. 개의 겉귕는 17개의 근육이 있어서 귀의 방향과 모양을 조정한다.

 

3. 후각

개가 냄새를 맡을 때는 평소 숨을 쉴때와는 달리 킁킁거린다. 콧구멍을 통해 들어온 공기를 가두어서 보다 냄새를 잘 맡기 위한 행동이다. 개는 한 번 맡았던 냄새를 기억하여 냄새를 식별한다. 개가 냄새를 기억하는 매커니즘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4. 미각

개는 짠맛, 단맛, 신맛, 쓴맛을 모두 느끼지만 사람의 미각세포가 9천개인 것에 반해 개는 1천7백여개로 다른 감각에 비해서 둔한 편이다. 고기 맛과 단 맛을 가장 잘 느끼며 짠맛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데, 개가 주로 섭취하는 고기에 염분이 충분하므로 염분을 따로 보충할 필요가 없어 짠맛을 느끼는 수용기가 적다.

- 개의 진화와 역사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개는 늑대로부터 약 10만 년 전 이전에 분리된 것으로 추측되며, 2013년 개의 화석을 이용한 분석에서는 33,000~36,000년 전 사이에 분화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개가 인간에 길들여진 시기는 약 1만 5천년 전 이후 또는 1만 4천년~1만 2천년 전으로 추정되며, 최소한 9천년 전에는 가축으로 기르고 있었다.

인간이 개를 기른 것을 증명하는 유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이라크의 팔레가우라 동굴에서 발견된 개 뼈이다.

 

늑대에서 개로, 번견.수렵견.조렵견.목축견.경비견에서 애완견으로, 이제는 반려견으로 우리의 100년, 1000년을 함께할 개는 앞으로도 우리인간과 함께 하고 있을 것이다.

반응형